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기(진법변환)
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진법 변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0진수란?
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수는 대부분 10진수입니다. 10진수는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체계입니다. 예를 들어, 456은 4 * 10² + 5 * 10¹ + 6 * 10⁰로 계산됩니다.
2진수란?
2진수는 0과 1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체계입니다. 이진법이라고도 불리며, 컴퓨터의 기본적인 수 체계로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101은 1 * 2² + 0 * 2¹ + 1 * 2⁰로 계산됩니다.
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
입력값: num (10진수)
변환 결과: binary (2진수)
- num을 2로 나눕니다.
- 나머지를 binary에 저장합니다.
- 몫을 num으로 대체합니다.
- num이 0이 될 때까지 1~3을 반복합니다.
- binary를 역순으로 저장합니다.
def decimal_to_binary(num):
binary = []
while num > 0:
remainder = num % 2
binary.append(remainder)
num = num // 2
binary.reverse()
return binary
예시
# 입력: 10진수 16
# 출력: 2진수 [1, 0, 0, 0]
binary_result = decimal_to_binary(16)
print(binary_result)
결과:
[1, 0, 0, 0]
이렇게, 입력받은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러한 진법 변환은 프로그래밍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개념이므로, 알고리즘이나 코드 구현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.
댓글